정령 (민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령은 고대 동아시아에 존재했던 민족으로,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흉노, 돌궐 등 주변 강국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중국 기록에서는 '철륵', '고차' 등으로 기록되었으며, 몽골 고원과 중국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3세기에는 중국 북부에 정착하여 '적위'라는 국가를 건국하기도 했으나 멸망했다. 언어 및 문화적 특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튀르크어족과의 관련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령 (민족) - 설연타
설연타는 7세기 몽골 고원에서 철륵 계통 부족 연맹으로 시작하여 카간국을 세웠으나 당나라-위구르 연합군에 의해 멸망한 국가이며, 설 부족과 연타 부족의 통합에서 이름이 유래했고 어원과 칸의 성씨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오호 십육국 시대 - 모용부
모용부는 3세기부터 5세기 초 화북 지역에서 활동한 선비족의 한 부족으로, 요서 지역에서 유목과 농경을 병행하며 세력을 키워 여러 국가를 건국하고 토욕혼을 건국하기도 했으나, 5세기 초 북위의 화북 통일 과정에서 쇠퇴하였다. - 오호 십육국 시대 - 탁발선비
탁발선비는 3세기 후반 탁발역미가 내몽골 지역을 근거지로 세력을 확장하여 대(代)를 건국하고, 북위로 국호를 변경하여 화북을 통일, 남북조 시대를 연 선비족 분파이다. - 중국의 고대 민족 - 흉노
흉노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동아시아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유목민족 연맹 또는 제국으로, 묵돌 선우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한나라와의 전쟁과 내분으로 멸망했으며, 민족 및 언어적 기원은 불분명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고대 민족 - 쿠차
쿠차는 타림 분지의 고대 오아시스 도시 국가로, 실크로드 교역 중심지이자 토하라인 거주지였으며, 다양한 민족 교류와 불교 번성으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었으나 13세기 이후 쇠락했고, 현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속한다.
정령 (민족) | |
---|---|
개요 | |
이름 | 정령 (丁零) |
다른 이름 | Ting-ling Tiele Chile Gaoche |
언어 | 튀르크어족 |
거주 지역 | 시베리아 남부 |
관련 민족 | 흉노, 돌궐 |
역사 | |
기원 | 기원전 3세기 |
흉노 복속 | 기원전 3세기 ~ 기원후 1세기 |
독립 | 1세기 |
북위 복속 | 5세기 |
돌궐 복속 | 6세기 |
멸망 | 7세기 |
문화 | |
종교 | 샤머니즘 |
경제 | 유목 |
사회 | 부족 연맹 |
같이 보기 | |
관련 문서 | 고차 철륵 돌궐 |
2. 명칭
딩링(Dingling)이라는 민족 명칭은 서방 세계의 현대 학자들에 의해 딩링의 후예로 여겨지는 철륵(Tiele)과 상호 교환 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7][8] 중국 역사가들은 '철륵'이 잘못된 표기라고 믿었고, 고대 적(Di)과 관련지었으며, 딜리(狄历), 가오처(高車) 또는 츠러(敕勒)와 같은 다양한 이름을 기록했다.[9][10]
피터 B. 골든(Peter B. Golden)을 포함한 여러 현대 학자들은 중국인들이 묘사한 이 모든 민족 명칭이 바퀴 달린 차량을 묘사하는 알타이어 외부 명칭에서 파생되었다고 믿고 있으며, '딩링'은 아마도 "마차"를 의미하는 토바어 단어(*tegreg)를 더 일찍 표기한 것일 수 있다.[11]
피터 골든은 또한 "가오처" 또는 "높은 수레"가 "'딩링' 등"의 번역일 수 있다고 썼다.[12] 에드윈 풀리블랭크(Edwin Pulleyblank)는 "높은 수레"가 궁극적으로 "원, 고리"를 의미하는 *Tägräg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딩링'의 원래 튀르크어 의미를 반영하는 외부 명칭의 여러 변형 중 하나일 뿐이라고 썼다.[13] 원래 이름은 "수레"를 가리키는 몽골어 telegem(텔레겜), terege(테레게)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되며, 정령·철륵은 그 음역이고, 고차는 그 의역으로 생각된다. 또는 돌궐 비문에 보이는 Tölös(테레스)에 비정하는 설, 또는 돌궐과 동명으로 Türk(튀르크) 또는 그 복수형 Türklär(튀르클레르)에 비정하는 설, 또는 돌궐의 수족이 된 것에서 Tiräk(티레크: 부조자)에 비정하는 설이 있었지만, P.A.Boodberg는 『Three Notes on the T'u-chüeh Turks』[61](1951년)에서 고알타이어로 "수레"를 가리키는 Terege, Telegen과 관련된 Terek, Telek에 비정하여, 후에 "고차"라고 불리게 된 것에 신빙성을 부여했다[62].
3. 역사
3. 1. 기원 및 초기 역사
정령(철륵)은 주나라 시대에 귀방(鬼方)으로 불렸다.[25] 그들은 원래 바이칼호 서쪽 예니세이 강과 레나 강 유역에 살았으며, 흉노와 돌궐에 복속되기도 했다.[14][15][29][30] 역사 기록에는 여러 이름으로 나타나는데, 그 이전의 다른 이름이 있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귀방(鬼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2][23][24]
3세기경, 정령은 선비족의 전연에 귀속되었다가 배신하고 하북성을 근거지로 세력을 형성하기도 했다. 적빈(翟斌)은 전연을 배신하고, 그의 아들 적진(翟眞)은 전연과 대치하다가 부하에게 피살된다. 이후 적진의 사촌형 적료가 정령족을 이끌고 남쪽으로 이동하여 후연에 항복했다가 다시 배반하고 388년 적위(翟魏)를 건국한다.[66] 적료는 황하와 태산 사이를 근거지로 후연과 동진을 공격하였다.
적료 사후, 적조(적교)가 뒤를 이었으나, 392년 모용수가 이끄는 후연의 공격을 받고 패주하여 서연으로 도주했다가 1년 후 처형당했다.
이후 정령은 유연에 귀속되었다가 485년경 돌궐에 복속된다. 5세기 말에는 타림 분지 북동부(특히 고창)에 정주하였으나, 6세기 초 에프탈의 공격으로 와해되었다.[20][21]
《산해경》에는 "정령의 나라가 있는데, 그 백성은 무릎 아래에 털이 있고, 말굽으로 달리기를 잘한다"라는 기록이 있으며,[63] 이는 『위략』의 마경국 기사와 유사하다. 흉노의 묵특 선우 즉위 후, 정령은 혼유, 굴사, 격곤, 신리 등과 함께 흉노에 복속되었다.[31] 기원전 72년 흉노가 한과 오손 연합군에 패배하고 폭설 피해를 입자, 정령은 흉노를 공격하여 이반했다.[64][65] 기원전 61년에는 3년 연속 흉노를 침공하여 많은 인명 피해와 가축 약탈을 감행했다. 기원전 49년에서 기원전 48년 사이, 지즈 선우는 오계·견곤·정령을 병합하고 견곤에 본영을 두었다.
후한 원화 2년(85년), 북흉노가 쇠약해지자 남흉노, 정령, 선비, 서역의 공격을 받아 서쪽으로 이동했다. 이후 정령은 단석괴가 이끄는 선비의 남하 저지로 한동안 독립 상태를 유지했다.
삼국 시대 역사서 『위략』에는 바이칼 호 남쪽의 정령국 외에도 강거 북쪽(카자흐 스텝)에도 정령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67][68]
3. 2. 흉노와의 관계
정령은 처음에는 흉노에게 정복당했지만, 흉노가 점차 약해지자 반란을 일으켰다.[32] 기원전 71년, 중국과 흉노 간의 분쟁 이후, 정령은 자이 진의 지휘 아래, 인근 부족의 도움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다. 기원전 63년부터 60년까지, 흉노 통치 씨족인 루안티(挛鞮) 내에서 분열이 일어나는 동안, 정령은 서쪽의 우순과 함께 흉노를 공격했으며, 남쪽에서는 중국, 동남쪽에서는 오환의 지원을 받았다.[32] 본시 2년(기원전 72년), 흉노가 한과 오손의 연합군에게 공격을 받아 패배하고, 게다가 그해 겨울의 폭설을 만나 많은 인민과 가축이 동사하자, 이를 틈타 정령은 흉노를 공격하여 이반했다. 신작 원년(기원전 61년), 정령은 3년 연속으로 흉노를 침공하여 인민 수천 명을 살해하고 가축을 빼앗아 갔다.[66]
기원전 51년, 정령은 후지에, 게쿤과 함께 캉거로 향하던 지즈 샨위 휘하의 흉노에게 패배했다.[32] 기원전 49년~기원전 48년경, 서흉노의 지즈 선우는 오손을 격파하고, 오계[64][65]·견곤·정령을 병합하여, 견곤의 땅에 본영을 두었다.[66] 이후 1세기 동안 더 많은 봉기가 있었을 수 있지만, 기록된 유일한 봉기는 서기 85년으로, 선비와 함께 흉노에 대한 마지막 공격을 감행하여 자이 잉의 지휘 아래 정령이 다시 세력을 회복했다.[33] 후한의 원화 2년(85년), 북흉노는 쇠약해져 부중이 잇따라 이반했다. 이를 틈타 남흉노가 그 남쪽을 공격하고, 정령이 그 북쪽을 침략했으며, 선비가 그 동쪽을 공격하고, 서역이 그 서쪽을 침략했으므로, 북흉노는 자립이 불가능해져 멀리 서쪽으로 떠나갔다.[66] 그 후, 정령의 압력으로 흉노의 북쪽 잔존 세력과 선비의 타시화이(檀石槐) 추장에 의해 연맹이 결성되었다. 그가 181년에 사망한 후, 선비는 남쪽으로 이동했고 정령이 초원에 그들의 자리를 차지했다. 북흉노가 떠난 몽골 고원에서 선비의 단석괴가 여러 부족을 통합하여, 한때 흉노의 판도에 필적할 정도가 되자, 단석괴는 정령의 남하를 막았다. 이후의 정령은 한동안 독립된 상태로 지속되었다.[66]
고대 중국인들이 서 딩링이라고 부르던 딩링의 일부 집단은 서아시아로 이주하기 시작했지만, 현대의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 해당하는 캉거(康居)에 정착했다.[32]
3. 3. 중국 북부로의 이동과 적위(翟魏) 건국
181년의 단명한 선비 연합과 402년의 유연 가한국 건국 사이 초원에는 부족 연맹이 없는 긴 기간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딩링의 일부는 더 남쪽으로 영구적으로 정착함으로써 북흉노에 동화되었다.[34] 약 45만 명으로 기록된 또 다른 집단은 동남쪽으로 이동하여 선비에 합병되었다. 일부 딩링 집단은 왕망의 치세 동안 중국에 정착했다. ''위략''에 따르면, 또 다른 딩링 집단은 카자흐스탄의 서부 초원으로 도망갔는데, 이를 서 딩링이라고 불렀다.[35] 3세기경, 중국에 살던 딩링은 채(翟), 선우(鲜于), 낙(洛), 엄(严)과 같은 성을 사용하기 시작했다.[36] 이 딩링은 3세기 동안 '''철륵'''(赤勒)으로 알려진 남흉노 부족의 일부가 되었으며, 여기서 철륵(敕勒)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오호 십육국 시대 동안 서 딩링 칸인 채빈(翟斌)은 그의 무리를 이끌고 카자흐스탄에서 중국 중부로 이주하여 전진에서 복무했는데, 일련의 음모 후에 채빈은 전진에 의해 배신당했고, 진(秦) 귀족들의 추가적인 시도를 피하기 위해 전진 왕조에 반란을 일으켰다. 전진 조정 아래의 선비 지도자인 모용수(慕容垂)는 전진 군대의 최고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반란을 진압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채빈의 설득으로 전진에 대항하는 그의 반란에 합류했다. 그들의 반란에는 또한 채빈의 제안에 따라 모용수가 연맹의 지도자로 선출된 여러 다른 선비 부족이 합류하여 반진 연맹을 형성했다. 같은 해 말, 모용수는 스스로를 연왕(燕王)으로 칭하고, 채빈을 연맹의 새로운 지도자로 남겨두고 전쟁의 딜레마에 빠지게 한 후, 나중에 모용수는 연맹과의 동맹을 깨고, 매복하여 채빈과 그의 세 아들을 살해했다.[37]
그의 조카 채진(翟真)이 무리를 상속받아 연맹의 새로운 지도자로 선출되어 복수를 모색했지만, 나중에 그의 군사 고문인 선우기(鲜于乞)에게 암살당했고, 선우기는 멀리 도망가지 못하고 딩링 병사들에게 붙잡혀 처형되었으며, 연맹은 채진의 사촌 채성(翟成)을 새로운 지도자로 선출했지만 나중에 연(燕) 스파이에 의해 암살되었고, 이후 채료(翟辽)가 연맹의 지원을 받아 딩링 무리의 새로운 지도자가 되었으며, 현대 허난성에서 중국의 딩링 왕조인 위(翟魏)를 건국했다.[37]
정령족(丁零族)의 적씨(翟氏)는 대대로 강거에 거주했지만, 후에 중국으로 이주하여, 적빈의 대에 후조에 신종했다. 전진의 부견이 화북을 통일하자, 적빈 등 정령족은 전진에 신종하여, 신안군·면지군으로 이주했다. 383년 12월, 전진의 위군종사중랑이던 적빈은 하남에서 거병하여, 전연 부흥을 꾀하는 모용수 등과 합류하여 전진에 반기를 들었다. 384년, 전진에서 독립한 모용수는 후연을 건국하고, 적빈을 건의대장군·하남왕으로 삼았다. 그러나 적빈은 곧 후연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기 때문에, 모용수에게 참수되었다.
적빈의 형의 아들인 적진은 승영으로 도망쳐 거점을 두고, 전진의 장락공 부비와 결탁하여 후연에 대항했다. 385년 4월, 적진이 승영에서 행당으로 옮기자, 적진의 사마인 선우걸은 적진을 죽이고, 스스로 조왕이 되었다. 영인들은 함께 선우걸을 죽이고, 적진의 종제인 적성을 세워 주로 삼았다. 그러나 그 무리의 대부분은 후연에 항복하고, 적진의 아들인 적요는 려양으로 달아났다. 5월, 연왕 모용수는 상산군에 이르러, 적성을 행당에서 포위했다. 7월, 적성의 장사인 선우득은 적성을 참수하고 모용수에게 항복했다. 모용수는 행당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적성의 무리를 모두 구덩이에 묻었다.
동진의 려양으로 도망친 적요는 려양군을 점령하고, 주변의 여러 군을 산하에 넣었다. 387년 1월, 모용수가 침공해 오자 항복했고, 모용수로부터 서주 목·하남공으로 봉해졌다. 얼마 지나지 않아 적요는 후연에 반하여 청하군·평원군을 약탈했다. 388년 2월에는 스스로 위천왕이라고 칭하고, 적위를 건국하여, 활대에 도읍을 두었다. 아들 적소의 대에 이르러, 여러 차례 후연을 침공했다가 격퇴당했고, 392년에는 후연에게 멸망했다. 적소는 혼자 서연으로 도망쳐 모용영으로부터 차기대장군·동군왕으로 봉해지지만, 1년 후에 모반을 일으켜 주살된다.
그 후의 화북은 북위에 의해 통일되고 (남북조 시대), 각 정령족도 그 지배하에 들어갔지만, 상당 정령의 적도, 유산 정령의 적촉, 서산 정령의 적촉·락지, 정주 정령의 선우대양·적교와 같은 세력이 여러 차례 북위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되었다.
한편, 북쪽 초원 지대에 예로부터 존재하는 정령족은 고차라고 불렸고, 후의 철륵으로 되어간다.
3. 4. 고차(高車)와 철륵(鐵勒)
181년의 단명한 선비 연합과 402년의 유연 가한국 건국 사이에는 초원에 부족 연맹이 없는 긴 기간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딩링의 일부는 더 남쪽으로 영구적으로 정착함으로써 북흉노에 동화되었다.[34] 약 45만 명으로 기록된 또 다른 집단은 동남쪽으로 이동하여 선비에 합병되었다.
일부 딩링 집단은 왕망의 치세 동안 중국에 정착했다. ''위략''에 따르면, 또 다른 딩링 집단은 카자흐스탄의 서부 초원으로 도망갔는데, 이를 서 딩링이라고 불렀다.[35] 3세기경, 중국에 살던 딩링은 채(翟), 선우(鲜于), 낙(洛), 엄(严)과 같은 성을 사용하기 시작했다.[36] 이 딩링은 3세기 동안 '''철륵'''(赤勒)으로 알려진 남흉노 부족의 일부가 되었으며, 여기서 철륵(敕勒)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오호 십육국 시대 동안 서 딩링 칸인 채빈(翟斌)은 그의 무리를 이끌고 카자흐스탄에서 중국 중부로 이주하여 전진에서 복무했는데, 일련의 음모 후에 채빈은 전진에 의해 배신당했고, 진(秦) 귀족들의 추가적인 시도를 피하기 위해 전진 왕조에 반란을 일으켰다. 전진 조정 아래의 선비 지도자인 모용수(慕容垂)는 전진 군대의 최고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반란을 진압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채빈의 설득으로 전진에 대항하는 그의 반란에 합류했다. 그들의 반란에는 또한 채빈의 제안에 따라 모용수가 연맹의 지도자로 선출된 여러 다른 선비 부족이 합류하여 반진 연맹을 형성했다. 같은 해 말, 모용수는 스스로를 연왕(燕王)으로 칭하고, 채빈을 연맹의 새로운 지도자로 남겨두고 전쟁의 딜레마에 빠지게 한 후, 나중에 모용수는 연맹과의 동맹을 깨고, 매복하여 채빈과 그의 세 아들을 살해했다. 그의 조카 채진(翟真)이 무리를 상속받아 연맹의 새로운 지도자로 선출되어 복수를 모색했지만, 나중에 그의 군사 고문인 선우기(鲜于乞)에게 암살당했고, 선우기는 멀리 도망가지 못하고 딩링 병사들에게 붙잡혀 처형되었으며, 연맹은 채진의 사촌 채성(翟成)을 새로운 지도자로 선출했지만 나중에 연(燕) 스파이에 의해 암살되었고, 이후 채료 (翟辽)가 연맹의 지원을 받아 딩링 무리의 새로운 지도자가 되었으며, 현대 허난성에서 중국의 딩링 왕조인 위(翟魏)를 건국했다.[37]
투바 씨족의 약 4분의 1은 나중에 가오처(高車)와 틸레(Tiele) 부족에서 발견되는 유사한 이름을 보여준다. 그중 합골(紇骨)과 을천(乙旃) 씨족은 높은 지위를 유지했다.
4세기에서 7세기 사이에 "딩링"이라는 이름은 위구르 카간국의 부상과 일치하며 중국 기록에서 서서히 사라졌다.[38]
몽골 고원으로 진출한 정령은 남북조 시대에 중국인(탁발씨 정권)으로부터 '''고차'''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는 그들이 이동에 사용한 차량의 바퀴가 높았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70] 처음에는 몽골 고원을 둘러싸고 탁발부의 대국이나 북위와 다투었지만, 차츰 세력을 떨치기 시작한 유연이 강대해지자 이에 종속되었다. 487년, 고차 부복라부의 아복지라는 유연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을 이룬다(아복지라국). 아복지라국은 유연이나 에프탈과 다투었지만, 6세기에 유연에게 패하여 멸망했다.
돌궐과 동시대에 돌궐 이외의 튀르크계 민족은 '''철륵'''으로 기록되었으며, 중앙 유라시아 각지에 분포하였고, 중국 사서에서는 "최다 민족"으로 기록되었다. 철륵은 돌궐 가한국의 중요한 구성 민족이었으나, 돌궐이 쇠퇴하면 독립하고, 돌궐이 다시 일어나면 복속하는 것을 반복했다. 이윽고 철륵은 구성(토쿠즈 오구즈)으로 불리며, 그중에서 회흘(위구르)이 대두하여, 갈라록(카를루크)・발실밀(바스밀)과 같은 튀르크계 민족과 함께 동돌궐 제2가한국을 멸망시켰다.
4. 언어 및 문화
딩링과 고대 및 현존하는 문화 간의 관계에 대한 여러 이론이 언어학적, 역사적 및 고고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제안되었다. 딩링족은 초기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여겨진다.[39][40] ''위략''에는 딩링족이 북극여우를 昆子 ''kūnzǐ'' (중고 중국어 (ZS): *''kuən-t͡sɨX'' < 초기 중세 중국어: *''kwən-tsɨ’/tsi’'' < 동한 시대 중국어: *''kûn-tsəʔ'')로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원시 튀르크어 *''qïrsaq'' ~ *''karsak''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41][42][43][44]
중국의 역사가들은 훗날의 실위에 속한 퉁구스어 사용자를 딩링과 연결하여, 언어적 유사성을 근거로 딩링의 후손으로 간주했다.[1]
독일 학자 하인리히 베르너는 예니세이어족과 아메리카의 나-데네어족 원주민, 그리고 중국 연대기에 나오는 딩링족을 원시 딩링어로 묶어 "바이칼-시베리아" 어족을 제안했다.[46] 러시아 언어학자들에 따르면 이들은 언어적, 문화적으로 통일된 공동체를 나타내는 다합성어 또는 합성어이며, 능격-절대격 형태의 형태통사적 정렬을 사용하는 언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딩링이라는 이름은 예니세이어 단어 *dzheng ''사람'' (de?ng/케트어mis, dyeng/유그어mis, cheang/코트어mis) 및 나-데네어 단어 *ling 또는 ''사람'' (틀링깃족의 이름 ''사람의 아들, 백성의 아이'')과 유사하다. 데네-예니세이어족은 현재 널리 알려진 가설이지만, 딩링족을 포함하는 것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5. 군주
5. 1. 고차의 군주
5. 2. 정령(丁零) 및 적위(翟魏) 군주
5. 2. 1. 정령
wikitable
5. 2. 2. 적위
wikitable
참조
[1]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2]
서적
Some Thoughts on the Origins of the Turks and the Shaping of the Turkic Peop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6
[3]
문서
Xin Tangshu
https://zh.wikisourc[...]
[4]
학위논문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e-Dynastic Khitan
https://helda.helsin[...]
University of Helsinki
2005
[5]
서적
Zur jenissejisch-indianischen Urverwandtschaft
https://books.google[...]
Harrassowitz Verlag
2004
[6]
서적
The Archaeology of Power and Politics in Eurasia: Regimes and Revolu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11-19
[7]
서적
Linguistic Mysteries of Ethnonyms in Inner Asia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8-03-28
[8]
서적
Turkish Language, Literature, and History: Travelers' Tales, Sultans, and Scholars Since the Eigh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0-14
[9]
문서
Weishu
https://zh.wikisourc[...]
[10]
문서
Xin Tangshu
https://zh.wikisourc[...]
[11]
서적
From the Khan's Oven: Studies on the History of Central Asian Religions in Honor of Devin DeWeese
https://books.google[...]
BRILL
2021-10-11
[12]
서적
Empires and Exchanges in Eurasian Late Antiquity: Rome, China, Iran, and the Steppe, ca. 250–7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4-26
[13]
간행물
The "High Carts": A Turkish-Speaking People Before the Türks
https://www.jstor.or[...]
1990
[14]
문서
Weilüe
https://zh.wikisourc[...]
[15]
문서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zh.wikisourc[...]
[16]
서적
Iron Age Archaeology and Trauma from Aymyrlyg, South Siberia
https://books.google[...]
Archaeopress
2003
[17]
문서
1996
[18]
문서
2003
[19]
서적
Siberia: A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0]
서적
Felt Tents and Pavilions: The Nomadic Tradition and Its Interaction with Princely Tentage
https://books.google[...]
Melisende
1999
[21]
서적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 Architecture: Three-Volume Set
https://books.google[...]
OUP USA
2009-05-14
[22]
문서
1992
[23]
문서
1996
[24]
문서
1988
[25]
문서
1988
[26]
문서
1988
[27]
문서
1986
[28]
웹사이트
Di 狄
http://www.chinaknow[...]
2012
[29]
문서
1996
[30]
문서
1998
[31]
문서
2003
[32]
문서
1988
[33]
문서
1988
[34]
문서
1988
[35]
웹사이트
Hill (2004), Section 28
http://depts.washing[...]
[36]
서적
Duan
1988
[37]
서적
Duan
1988
[38]
서적
The Supplement to The Modern Encyclopedia of Russian, Soviet and Eurasian History: Deni, Viktor Nikolaevich - Dzhungaria
https://books.google[...]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2007
[39]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40]
서적
Some Thoughts on the Origins of the Turks and the Shaping of the Turkic Peop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6
[41]
웹사이트
Section 28 – The Kingdom of Dingling (Around Lake Baikal and on the Irtish River)
https://depts.washin[...]
[42]
논문
"The consonantal system of Old Chinese. Part II"
https://www2.ihp.sin[...]
1962
[43]
서적
Schuessler
2014
[44]
기타
"*KArsak"
http://starling.rine[...]
E.J. Brill
2003
[45]
서적
Xu
2005
[46]
서적
Zur jenissejisch-indianischen Urverwandtschaft
https://www.harrasso[...]
Harrassowitz Verlag
2004
[47]
서적
Russian Translation Series of the Peabody Museum of Archaeology and Ethnology, Harvard University
https://books.google[...]
Peabody Museum of Archaeology and Ethnology, Harvard University
1964
[48]
서적
Asien II: Sowjet-Asie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8-12-03
[49]
학술지
Ancient DNA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history of south Siberian Kurgan people
2009-05-16
[50]
서적
The Amazons: Lives and Legends of Warrior Women across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02-09
[51]
서적
Eurasia and India: Regional Perspectives
Routledge
2017-09-27
[52]
학술지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Historical Sources and y-dna Studies with Regard to the Early and Medieval Turkic Peoples
2017-10-18
[53]
서적
A Chinese bestiary: strange creatures from the guideways through mountains and sea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54]
서적
The Graeco-Bactrian and Indo-Greek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29
[55]
웹사이트
Weilue: The Peoples of the West
https://depts.washin[...]
[56]
서적
漢書 匈奴伝、後漢書 南匈奴列伝、魏略 西戎伝
[57]
서적
史記 匈奴列伝
[58]
서적
晋書、資治通鑑
[59]
서적
魏書、北史
[60]
서적
北史、隋書、旧唐書
[61]
간행물
Three Notes on the T'u-chüeh Turks
1951
[62]
서적
騎馬民族史1
[63]
서적
白鳥
1970
[64]
문서
烏掲
[65]
서적
騎馬民族史1
[66]
서적
史記 匈奴列伝、漢書 匈奴伝
[67]
문서
護雅夫は『魏略』が伝える西から堅昆→丁令→呼得の順を、北からに置き換え、エニセイ川流域、つまりバイカル湖の北西に堅昆・丁令・呼得がいたとし、バイカル湖南の丁令も、康居の北の丁令も位置は変わらず同じ種族であるとした。
[68]
문서
内田吟風は『魏略』の位置関係を順守している。
[69]
서적
魏書』(列伝第八十三)、『晋書』(載記第十三、載記第十四、載記第二十三)、『資治通鑑』(巻第九十四、巻第一百三、巻第一百五、巻第一百六、巻第一百七、巻第一百八)
[70]
서적
魏書』列伝第九十一「唯車輪高大,輻数至多。」、『北史』列伝第八十六「唯車輪高大,輻数至多。」
[71]
서적
아리아 시대(이슬람 이전 시대)의 중앙아시아
책과함께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